카테고리 없음
2013년 지속가능경영 실태조사 결과 발표
아마데우스
2014. 3. 3. 12:26
|
과천--(뉴스와이어) 2014년 03월 03일 -- 10년차를 맞이한 지속가능경영 실태조사
산업부는 지난 ’03년부터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국내 산업계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지속가능경영실태조사’를 산업정책연구원과 함께 실시 중이다.
* ’03년 ‘윤리경영 실태조사’로 시작한 본 조사는 ’08년부터 ‘비전’.‘환경경영’의 평가요소가 추가된 ‘지속가능경영실태조사’로 확대·개편
지속가능경영실태조사 결과는 ‘대한민국 사랑받는 기업 정부포상’ 선정에 반영되고, 일부 기업은 핵심성과지표(KPI)로 활용하는 등 산업계 전반의 지속가능경영 문화 확산에 기여한다.
10년 간 성과
조사를 최초로 개시한 ’03년 당시와 비교할 때,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노력과 관심은 꾸준히 증가했다.
* ’03년 윤리경영실태조사 결과(당시 10점만점): 100점 만점 환산시 평균 66.9점 → ’13년 지속가능경영실태조사 결과: 평균 88.21점
지속가능경영 관련 업무를 경영진이 직접 지시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의 비율은 ’03년 당시 39%에서 ’13년 97%로 대폭 증가하였으며, 사내에 지속가능경영 전략 수립을 전담하는 조직이 존재한다고 응답한 기업은 ’13년 조사대상기업의 87%로 10년 전(62%)에 비해 증가했다.
최고 경영자의 성과평가에 경제적 지표 외에 사회적 성과를 반영하고 있는 기업의 비율도 최근 3년 연속 90%를 상회했다.
’13년 특징
’13년 조사 결과, 기업들은 지속가능경영 비전·환경경영·고객 등의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적을 보였으나, 지역사회·작업장 영역의 점수는 전년대비 하락했다.
* 영역별 평가 결과: (비전)95.24 (지배구조)86.49 (작업장)87.24 (윤리경영)94.16 (협력업체)86.08 (고객)93.56 (지역사회)70.57 (환경경영)93.29
134개의 조사대상 기업 중 총 37곳이 지속가능경영 최우수기업 (AAA, 평균 90점 이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이 중 10개 기업은 5년 연속으로 AAA등급을 유지했다.
* 5년이상 최우수등급 유지 기업: (공기업) 가스안전공사·석유공사 등 7곳, (민간기업) 유한킴벌리·SK하이닉스 등 3곳
향후 과제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기업들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근‘대기업-협력업체 간 갑을관계, ‘개인정보 유출’ 등의 논란 등으로 인해 국민들의 체감도는 높지 않은 편이다.
* ’13년 대한상의 기업호감도 조사결과: (反기업정서수준) ‘높다’ 70.2%, (호감이 가지 않는 이유) ‘비윤리적 경영’ 38.4%, ‘사회적책임 소홀’ 20.7%
진정성 있는 사회 공헌활동으로 국민들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창출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산업부는 기업의 이윤 창출 과정에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공유가치창출(CSV) 모델’의 확산을 통해 기업들의 전략적인 사회공헌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소개
상업,무역,공업 정책, 무역 및 통상, 자원과 에너지 정책을 관장하는 정부 부처이다. 산업정책을 맡는 1차관, 무역 및 에너지를 맡는 2차관을 두고 있다. 그 아래 기획조정실, 무역투자실, 산업정책실, 산업기반실, 통상교섭실, 에너지자원실이 있다. 산하에 기술표준원과 무역위원회, 경제자유구역기획단 등을 두고 있다. 지식경제부 1차관 출신인 윤상직 장관이 2013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를 이끌고 있다.
산업부는 지난 ’03년부터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국내 산업계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지속가능경영실태조사’를 산업정책연구원과 함께 실시 중이다.
* ’03년 ‘윤리경영 실태조사’로 시작한 본 조사는 ’08년부터 ‘비전’.‘환경경영’의 평가요소가 추가된 ‘지속가능경영실태조사’로 확대·개편
지속가능경영실태조사 결과는 ‘대한민국 사랑받는 기업 정부포상’ 선정에 반영되고, 일부 기업은 핵심성과지표(KPI)로 활용하는 등 산업계 전반의 지속가능경영 문화 확산에 기여한다.
10년 간 성과
조사를 최초로 개시한 ’03년 당시와 비교할 때,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노력과 관심은 꾸준히 증가했다.
* ’03년 윤리경영실태조사 결과(당시 10점만점): 100점 만점 환산시 평균 66.9점 → ’13년 지속가능경영실태조사 결과: 평균 88.21점
지속가능경영 관련 업무를 경영진이 직접 지시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의 비율은 ’03년 당시 39%에서 ’13년 97%로 대폭 증가하였으며, 사내에 지속가능경영 전략 수립을 전담하는 조직이 존재한다고 응답한 기업은 ’13년 조사대상기업의 87%로 10년 전(62%)에 비해 증가했다.
최고 경영자의 성과평가에 경제적 지표 외에 사회적 성과를 반영하고 있는 기업의 비율도 최근 3년 연속 90%를 상회했다.
’13년 특징
’13년 조사 결과, 기업들은 지속가능경영 비전·환경경영·고객 등의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적을 보였으나, 지역사회·작업장 영역의 점수는 전년대비 하락했다.
* 영역별 평가 결과: (비전)95.24 (지배구조)86.49 (작업장)87.24 (윤리경영)94.16 (협력업체)86.08 (고객)93.56 (지역사회)70.57 (환경경영)93.29
134개의 조사대상 기업 중 총 37곳이 지속가능경영 최우수기업 (AAA, 평균 90점 이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이 중 10개 기업은 5년 연속으로 AAA등급을 유지했다.
* 5년이상 최우수등급 유지 기업: (공기업) 가스안전공사·석유공사 등 7곳, (민간기업) 유한킴벌리·SK하이닉스 등 3곳
향후 과제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기업들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근‘대기업-협력업체 간 갑을관계, ‘개인정보 유출’ 등의 논란 등으로 인해 국민들의 체감도는 높지 않은 편이다.
* ’13년 대한상의 기업호감도 조사결과: (反기업정서수준) ‘높다’ 70.2%, (호감이 가지 않는 이유) ‘비윤리적 경영’ 38.4%, ‘사회적책임 소홀’ 20.7%
진정성 있는 사회 공헌활동으로 국민들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창출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산업부는 기업의 이윤 창출 과정에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공유가치창출(CSV) 모델’의 확산을 통해 기업들의 전략적인 사회공헌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소개
상업,무역,공업 정책, 무역 및 통상, 자원과 에너지 정책을 관장하는 정부 부처이다. 산업정책을 맡는 1차관, 무역 및 에너지를 맡는 2차관을 두고 있다. 그 아래 기획조정실, 무역투자실, 산업정책실, 산업기반실, 통상교섭실, 에너지자원실이 있다. 산하에 기술표준원과 무역위원회, 경제자유구역기획단 등을 두고 있다. 지식경제부 1차관 출신인 윤상직 장관이 2013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를 이끌고 있다.
출처 : 뉴스와이어 제공